반응형


1. vsftpd 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설치한다.
[root@localhost sysconfig]# rpm -qa |grep vsftpd
[root@localhost sysconfig]# yum install vsftpd

2. 익명 접속을 제한 한다.
[root@localhost vsftpd]# vi /etc/vsftpd/vsftpd.conf

# Allow anonymous FTP? (Beware - allowed by default if you comment this out).
anonymous_enable=NO

3. vsftpd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root@localhost vsftpd]# /etc/init.d/vsftpd restart
vsftpd를 종료 중:                                          [  OK  ]
vsftpd에 대한 vsftpd을 시작 중:                            [  OK  ]
[root@localhost vsftpd]#

** 위와 같이 했는데도 ftp 접속이 안되는 경우
ftp 정상적인 세팅 상태에서 로그인 후
500 OOPS: cannot change directory  (SELinux 정책 문제!!!)

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되며 접속이 끊어질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etc/selinux/config 에서
SELINUX=permissive

와 같이 바꾸면 됩니다. SELINUX의 Deny를 permissive로..
즉 메세지만 로그에 남기고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지요.
enforcing이 기본인데 이것은 접근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또다른 방법
[root@localhost selinux]# system-config-securitylevel



SELinux 를 허용으로 설정하면 SELINUX=permissive 로 변경된다.

반응형
반응형

CentOS 5.2 Apache - Tomcat 연동 mod_jk

1. 먼저 Connector 를  /usr/local/src 에  다운 받는다. 
http://tomcat.apache.org/download-connectors.cgi


 #>wget http://mirror.apache-kr.org/tomcat/tomcat-connectors/jk/source/jk-1.2.26/tomcat-connectors-1.2.26-src.tar.gz

2. tar 압축을 해제후 다음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tomcat-connectors-1.2.26-src/native/

3. ./buildconf.sh  실행합니다.

4.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2/bin/apxs  실행한다.
   
   apxs 경로를 모를경우 find /  -name apxs 를 통해 찾아보자

aspx 모듈이 없는 경우 
# yum install httpd-devel     로 설치가능

5. make후에 make install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면 끝.

---------------------- 환경설정 --------------------------------------

Apache 환경설정 파일이 존재하는 곳에 workers.properties 파일을 만듭니다. 그리고 아래 내용을 입력합니다.

$vi /usr/local/apache2/conf/workers.properties


# 사용할 worker 목록을 지정한다. 아래는 local worker만 지정하였으며, 여러 개를 지정해야 할 경우 콤마로 구분


여기부터 입력 !!

worker.list=local


worker.local.type=ajp13
worker.local.host=localhost
worker.local.port=8009

저장 후 종료


다음은 아파치 설정파일에 톰캣 연동 정보를 추가해야 합니다.

Tomcat 연동 모듈인 mod_jk를 로딩해야 합니다. 그리하기 위하여 아래 내용들을 Apache 파일에 추가해야 합니다.

 

LoadModule 부분 찾아서 아래 내용 추가


$vi /usr/local/apache2/conf/httpd.conf



LoadModule    jk_module  modules/mod_jk.so

# worker 정보가 설정된 파일의 경로 지정
JkWorkersFile /usr/local/apache2/conf/workers.properties

JkLogFile  /usr/local/apache2/logs/mod_jk.log
JkLogLevel    error
JkLogStampFormat "[%a %b %d %H:%M:%S %Y] "
JkRequestLogFormat     "%w %V %T"






$vi /usr/local/apache2/conf/extra/httpd-vhost.conf 에 다음을 추가

<VirtualHost *:80>
    ServerAdmin
dhkim@developer.com
    DocumentRoot "/home/www/developer/htdocs"
    ServerName
www.developer.co.kr
#    ServerAlias www.dummy-host.example.com
    ErrorLog "logs/www.developer.co.kr-error_log-%Y%m%d"
    CustomLog "logs/www.developer.co.kr-access_log-%Y%m%d" common env=!image-request
    JkMount /jsp/* local  <-- 톰캣이 돌아야할 디렉토리를 지정해준다.
    JkMount /probe1* local
    <Location />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Allow from 192.168
    </Location>
</VirtualHost>




$vi /usr/local/java/tomcat/conf/server.xml
기존의 server.xml 에 Sevice 태그를 다음과 같이 수정 한다.




<Service name="Catalina">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Engine name="Catalina" defaultHost="localhost">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Host name="
www.developer.co.kr"  appBase="/home/www/developer/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Context path="" docBase="ROOT" debug="0" allowLinking="true" reloadable="true" />       
      </Host>
    </Engine>
</Service>



 이제 톰캣 재시작하면 끝~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계정생성 및 관리  (0) 2010.04.16
centOs - vsftp 설치하기  (1) 2010.04.16
리눅스 [centOS] - 아파치 설치하기  (1) 2010.04.16
리눅스 [centos] 에 openssh 설치하기  (0) 2010.04.13
MySQL 빽업용 쉘스크립트  (0) 2009.12.11
반응형

CentOS 5.2 Apache 설치하기

오늘 직원 중 한명이 아파치를 설치한다고 낑낑 거리다가 결국
나에게 Help 를 요청하는 바람에...

바람을 가르며 아파치 & 톰캣 설정을 해줬다.

향후에는 아파치도 굳이 바이너리로 설치하지 않고 패키지로 설정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현재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하는게 어떤지 잘몰라서 제대로 알때까지는 
바이너리로 설치하는  방법을 고수하려고 한다.


일단 아파치부터 설치해보자

1. 일단 http://www.apache.org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하자!





위의 그림처럼 httpd-2.2.11.tar.gz   를 다운받아서 /usr/local/src 에 다운받는다


2. httpd-2.2.11.tar.gz 압축을 풀고 httpd-2.2.11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2 --enable-rewrite=shared --enable-speling=shared --with-mpm=worker --enable-modules=so   

#> make clean; make; make install

#> echo "/usr/local/apache2/lib" >> /etc/ld.so.conf

#> /sbin/ldconfig


위와 같이 순차적으로 실행해준다.

그럼 usr/local/apache2 에  아파치가 설치되어있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3. mod_jk 연동을 위해 해야할것 !
일단 mod_jk 설치가 우선되어야 한다. (mod_jk 설치 )

설치후에
httpd.conf 파일 마지막에

# mod_jk
Include conf/mod_jk.conf


위의 항목을 추가해준다.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 vsftp 설치하기  (1) 2010.04.16
CentOS 5.2 Apache - Tomcat 연동 mod_jk  (0) 2010.04.16
리눅스 [centos] 에 openssh 설치하기  (0) 2010.04.13
MySQL 빽업용 쉘스크립트  (0) 2009.12.11
Vi 명령어모음  (0) 2009.11.12

+ Recent posts